# Git 설치 및 사용(Github)
(1) Git 설치 및 설정
① msysGit 설치
링크(https://git-for-windows.github.io/)를 통해 최신버전의 msysGit을 다운로드 및 설치한다.
② Git Bash실행 및 설정
정상설치가 되었다면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 시, Git Bash Here 라는 메뉴가 보일것이다. 아래와 같이 기본설정을 해야한다.
# 사용자 정보 입력
$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KyungHun-Song"
$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gydbf89@gmail.com"
# 쉘 color 지정
$ git config --global color.ui "auto"
# 사설 인증서를 사용할 경우 ssl 검증을 클라이언트에서 하지 않음
$ git config --global --bool --add http.sslVerify false
# Http POST 요청 버퍼 사이즈를 설정
$ git config --global http.postBuffer 524288000
#UTF-8 설정 (Windows만 해당됨)
$ git config --global i18n.commitEncoding cp949
$ git config --global i18n.logOutputEncoding cp949
#intelliJ연동을 위해 ignored 기능 설정(Global Scope)
$ vi ~/.gitignore_global
target
build
bin
.git
.svn
*.class
*.bak
$ git config --global core.excludesfile ~/.gitignore_global
(2) GitHub Repository 생성
① Remote Repository 생성
링크(https://github.com/)를 통해 Sign Up을 진행한 후 로그인을 한다. 화면 우측상단에 위치한 New repository 를 클릭하여 Repository를 생성한다.
② Git Data Transport Commands
아래는 Git Data Transport Command에 대한 도식도이다.
일반적인 작업순서는 아래와 같다.
'Development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Local Project를 GitHub에 등록하기 (0) | 2015.09.18 |
---|